Thursday, 28 June 2012

결국 보크 논란



논점이 보크냐 아니냐로 가는데 이번 문제는 김병현 만의 문제가 아니다.
투구동작의 시작을 축족을 움직이면서 시작하고 그 미세한 시간차를 악용하는 투수들의 잔머리는 이미 조금씩 사용하는 경향이 두드러 진다.
그동안 KBO 심판 아자씨들이 엄격하지 않았던 결과.
문제는 김병현 이외에도 축족을 움직이면서 시작하는 투구동작을 하는 투수들은 지금도 꾀된다. 난 넥센의 김병현 이전에 롯데 김성배를 먼저 지적했지만, 크게 문제 삼지 않더니 김병현의 동작을 문제삼는 것도 웃기긴 하지만, 나도 보크냐 아니냐로 따지자면 보크를 줘도 무방한 경우를 많이 보았다.

재미있는 이야기 하나 하자면,
축족을 상체 이동 없이 들 수 있는 사람은 지구상에 한명도 없다.
오른발에 체중을 옮기고 오른발을 들수있는 사람은 없다.
(마술에서 오래전 쓰던 방법이기도 한데, ) 그러다면 투수는 어떻게 축족을 들수있을까? 체중을 잠시 넘겼다가 오기 때문인데 바로 이부분이 1.5중 동작이라고 했던 부분이다.
타자가 볼때 투수의 중심이 한번에 오는 것이 아니라 왔다-갔다-다시 오는 경우가 발생한다.

암튼, 문제는 국제대회 나가서 보크판정을 받기 전까지 해결되진 않는다.
그리고 김병현이 MLB에서 같은 방식으로 던졌다고 하는데 그건 아니다. 얼핏 보면 비슷한듯 하지만, 그당시는 견제를 염두하지 않은 축족의 디딤이라면, 지금은 한단계 성숙해 져서 주자 견제의 효과도 갖게된 축족의 디딤을 갖는다.
BK는 진화했다.^.^

Tuesday, 26 June 2012

김병현의 축족으로 시작되는 투구

오늘 있었던 두산-넥센의 경기에서 이었던, 넥센 김병현의 투구동작에 대한 두산 김진욱 감독의 어필은 분명한 이유가 있었다. 얼마전에 이전 포스팅에서 내가 2중동작이라고 하기엔 애매한 1.5중동작이라고 했던 것과 같은 이유인데,


Byung-Hyun Kim

축족은 투구동작의 시작이 아니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요즘 들어 축족을 투구동작의 시작으로 삼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 우투수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오른발을 잠깐 들었다가 놓으면서 왼발 킥동작을 하는 것인데, 안되란 법은 없지만 세트포지션에서 한동작으로 킥이 이루어 지지 않음은 정당한 행동은 아니다.

이유는 축족을 움직이고, 킥동작 직전까지의 작은 시간차를 어떻게 볼것이냐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아직 짜기는 이것을 보크라고 할만한 확실한 근거는 없다. 다만 가끔씩 보이는 덜컥 하는 듯한 느낌은 보크라는 느낌이 강하게 드는 것도 사실이다.



①투수판에 있는 투수가 투구(投球)와 관련이 있는 자연스런 동작을 한 뒤 투구를 하지 않을 경우,
②투수판에 있는 투수가 1루에 송구(送球)하는 흉내만 내고 송구를 하지 않는 경우,
③투수판에 있는 투수가 발을 직접 그 누(壘)의 방향으로 내딛지 않고 송구한 경우,
④투수판 위에 있는 투수가 아무 의미 없이 주자가 없는 누에 공을 던지거나, 공을 던지는 흉내를 내는 경우,
⑤투수가 축이 되는 발을 투수판의 뒤쪽에 두거나, 그 발을 투수판에 대지 않고 타자에게 투구한 경우,
⑥투수가 타자 쪽으로 얼굴을 향하지 않고 타자에게 투구한 경우,
⑦투수가 투수판에 발을 대지 않고 타자에게 투구 동작을 한 경우,
⑧투수가 불필요하게 경기를 지연시킬 경우,
⑨투수가 공을 갖지 않고 투수판 위에 서거나 걸치거나 또는 떨어져서 투구하는 흉내를 내는 경우,
⑩투수가 세트 포지션(set position)을 취한 후 실제로 투구하거나 혹은 누로 송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공으로부터 한쪽 손을 떼는 경우,
⑪투수판에 발을 대고 있는 투수가 우연히 또는 고의로 공을 떨어뜨린 경우,
⑫투수가 세트포지션으로 완전히 1초를 정지하지 않고 투구한 경우,
⑬투수가 캐처즈 박스(catcher's box) 밖에 있는 캐처에게 투구를 한 경우,
⑭투수가 퀵 리턴 피치(quick return pitch)를 한 경우

Friday, 22 June 2012

김성근 감독의 좁은 눈

김성근 "SK 이미지를 망친 건 내가 아니었다" :: 네이버스포츠

이분참 사건을 이런식으로 보는구나
알고있었지만 아직까지 할말이남았나?
지금은 내가 시간이없고, 나중에 쓴다.

Thursday, 21 June 2012

위장번트

요즘 잘 안쓰는 표현중에 하나가 위장번트가 아닌가 싶다.  대신 등장한 용어가 바로

"슬러시" ..
"슬러시"를 남발하는 해설자들이 늘어난것은, 더운 요즘 같은때 더더욱 귀에 거슬린다.

Fake bunt and slash 의 슬래시를 슬러시(slush)라고 잘못 발음 하는 경우인데,
슬래시나 슬러시나 두개의 발음 모두 한국인에게 어렵지 않다.

만약에 둘다 자신 없다면 위장번트라고 하면 될것을 왜 자꾸 슬러쉬 슬러쉬 거리는지...
동네야구 구경간 아저씨가 치킨 먹으면서 하는 소리도 아니고, 몇억씩 받아 쳐먹는 공중파 해설자들이 이런 "슬러쉬"를 날릴때면 드는생각 아~~ 방송국 돈따먹기 참 쉽구나




 자 슬러쉬는 이게 슬러쉬

Sunday, 17 June 2012

투수의 잡스런 구분동작


얼마전 김성배의 투구동작의 묘함을 발견하고, 몇일간은 그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그리고 그 묘함의 원인을 찾아냈다. 2중동작이 아니라 1.5동작으로 느껴지는 이 쿠구동작을 살펴보자.

문제는 투구 동작의 시작은 축족이 아니여야 함에도, 축족부터 투구동작을 시작하는 형태의 롯데투수들이 가끔씩 보인다는것인데...나름의 구분동작으로 타자의 타임을 뺏기에 좋을수도 있지만 글쎄 별로 권하고 싶지는 안은 방식.
하지만 동작의 묘한 구분이 점선같이 희미하게 생겨서,  투수의 첫움직임에 타이밍을 마추는 타자의 유형은 상당히 불리해진다.

구분동작이 많고 정지동작에 가까운 형태로 현대의 투구동작은 구분되고 있다.
하나-둘-셋. 하나 두~울 셋, 이런 식의 타자들의 타이밍 잡는 방법의 문제가 아니라 어느 지점을 그 투수의 '하나'로  정하느냐에 대한 타이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uesday, 12 June 2012

롯데 김성배 투구동작 1.5중 동작

롯데자이언츠 김성배의 퀵모션 투구동작은 보크라고해도 무방할정도의 이중동작을 아주가끔씩 보여준다.
그런데 왜 보크선언이 안될까 이유는 간단하다. 정말정말 애매한 경우가 바로 이런경우인데, 규정을 최대한 활용한다고 할수도있고 최대한 악용하는것이기도ᆢ
셑포지션이후 킥동작 직전 아주 미세하게 체중을 넘기는듯한 앞뒤로 오가는 움직임이 바로 그것이다.김성배는 고의인지 확신은 힘들지만 난 고의적으로 보는데 이유는 다음과같다.
위기 때 그의 묘한 이중동작은 더욱더 자주보인다. 특히 상대의 도루작전이 나오기힘든 경우.
글러브를 고정하는 자세를 취해서 셑포지션이 끝났음을 매우 확실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이중동작의 효과로 타자들의 타이밍을 뺏는 효과는더크다.


KBO심판들 눈을 크게떠라.